티스토리 뷰
728x90
SMALL
매번 western blot 실험을 해오면서 한 번에 하나의 단백질만 타깃 하여 확인하는 게 너무 불편했다.
실험 특성상 하루종일 걸리는 실험인데, 하루에 하나의 단백질만 볼 수 있는 게 너무 아쉽기도 하고 시간낭비도 심하다고 생각해서 고민하던 중 한 번에 두 가지를 보면 어떨까라는 생각만 해오다가 얼마 전 Chat GPT한테 물어봤고, 가능하다고 해서 오늘 실험을 진행해 보았다.
이것만 한건 아니고 이전에 진행하였던 KTI 재확인 실험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진행한 실험이었다.
처음 해보는 실험이다 보니 어떻게 할지 감은 안 왔지만 기존 실험 방식 그대로 가져와서 진행해 보기로 했다.
기존에 진행하던 방식대로 진행하되, 1차 antibody를 넣을 때 KTI, P34 antibody를 각각 1 µl 씩
(2차 antibody는 동일하게 6.6 µl로
결과를 봤더니 놀랍게도 Chat GPT가 말해준 대로 두 줄로 나와있었다.
넘버링된 샘플들은 내가 작년에 교배했었던 F2 종자들의 샘플들을 사용한 건데, 모본과 부본 둘 다 P34를 보유하는 개체들이라 F2 세대에서도 모두 P34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.
KTI 같은 경우에는 부본에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멘델의 법칙에 의해 F2 세대에서는 분리가 일어났고, 이전 실험을 토대로 일부러 부재여부를 섞어 배치하였다.
실험이 계획대로 아주 잘 나와서 기념으로 사진으로 출력도 한 장 했다.
728x90
LIST
'Crop Genetic Breeding La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5.07.04 교배용 온실 콩 근황 (0) | 2025.07.04 |
---|---|
엽면시비용 몰리브덴(Mo) 원액 만들기 (0) | 2025.07.02 |
25.06.30 ~ 25.07.02 포장 제초제 살포 및 관리기 작업 (1) | 2025.07.01 |
25.06.27 발아된 콩들 솎아내기 (1) | 2025.06.29 |
25.06.20 온실 교배용 콩 파종 (0) | 2025.06.25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canada
- 샤인머스켓 삽목
- 샤인머스켓 묘목
- Toronto
- 쏘렌토 살몬 멜론
- 아스파라거스 수확
- 샤인머스켓 나무
- 멜론 씨앗
- 종자생명산업 맞춤형 인력양성
- 아스파라거스
- CDDBN
- 멜론
- 필름카메라
- 브람스 말타
- Riverdale Park
- 무화과
- 토론토
- 아스파라거스 키우기
- 희귀 무화과
- 메론 키우기
- 멜론 키우기
- 샤인머스켓
- film camera
- Riverdale Farm
- 콩 육종
- 무화과 키우기
- 맛있는 무화과
- Gardening
- 메론 씨앗
- 샤인머스켓 키우기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